한국문화유산 1 페이지 > Little Korea

K-CULTURAL HERITAGE

Everlasting Legacies of Korea

  • 1982.6.1
    지정일
    대목장은 집 짓는 일의 전과정, 즉 재목을 마름질하고 다듬는 기술설계는 물론 공사의 감리까지의 전과정을 책임지는 목수로서 궁궐이나 사찰, 군영시설 등을 건축하는 도편수를 지칭하기도 한다. 대목장은 문짝, 난간 등 소규모의 목공일을 맡아 하는 소목장과 구분한 데서 나온 명칭이며, 와장·드잡이·석장·미장이·단청장 등과 함께 집의 완성까지 모두 책임을 지고 있기 때문에 현대의 건축가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목조건축이 발달하여 궁궐과 사찰건물이 모두 목조였다. 따라서 목수에 주어진 벼슬 또한 상당하였다. 통일신라의 관직을 보면 목척(木尺)이 70인이라 하였는데, 그 가운데 상당수가 전문직으로서의 목수로 보인다. 고려시대에는 목업에 벼슬이 주어졌고 조선시대에는 60인의 목장을 선공감에 두었고, 세종(재위 1418∼1450) 때 서울 남대문 재건기록에 의하면 대목이 정5품이었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이르러 목수에게 벼슬을 주는 제도가 없어졌다. 오늘날에는 사찰이나 개인의 집을 목조로 짓는 것으로 기술의 명맥이 전수되어 오는 형편이다.

    대목장은 그 기법이 엄격히 전승되기 때문에 기문(技門)이 형성되어 있다. 기문은 기술로서 한 가문이 만들어지는 것인데, 기문에서의 대목장은 절대권위를 누린다. 대목장은 능력에 따라 새로운 기법이 도입되기도 하고 기능이 향상되기도 하며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이기도 한다.
  • 1982.6.1
    지정일
    줄다리기는 농경의식의 하나인 일종의 편싸움 놀이로 길쌈이라고도 한다. 마을을 육지와 바닷가쪽 두 편으로 나누는데 생산의 의미에서 여성을 상징하는 바닷가 쪽이 이겨야 풍년이 든다고 한다. 줄다리기는 윤년 음력 3월초에 재앙을 막고 풍년을 기원하는 당제를 지낸 다음 행해졌다. 전설에 의하면 당진의 기지시리는 풍수적으로 옥녀가 베짜는 형국이어서 베를 양쪽에서 잡아당기는 시늉을 한데서 줄다리기가 생겼다고도 하고, 지형이 지네형이라서 지네모양의 큰 줄을 만들어 줄다리기를 했다고도 전해진다.

    줄의 길이는 50∼60m이며 지름이 1m가 넘는 경우도 있어 사람이 줄을 타고 앉으면 두 발이 땅에 닿지 않을 정도라고 한다. 줄이 커서 손으로 잡아당길 수가 없기 때문에 원줄의 중간 중간에 가늘게 만든 곁줄을 여러 개 매달아 잡아당기기 좋도록 만든다. 줄 위에 올라선 대장이 지휘를 하면 줄다리기가 시작되고 각 마을의 농악대는 빠른 장단으로 사람들의 흥을 돋운다. 줄다리기가 끝나면 줄은 이긴 쪽 차지가 되는데, 승부가 결정되면 사람들이 몰려들어 칼로 줄을 끊어 간다. 끊어간 줄을 달여서 먹으면 요통이나 불임증에 효과가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줄에 양잿물이나 바늘을 떨어뜨리거나 꽂으면 줄이 끊어지고 여자가 줄을 넘으면 넘어선 곳이 끊어진다는 금기가 있어 주술적인 의미도 지니고 있다.

    기지시줄다리기는 재앙을 막고 풍년을 기원하는 농경의식의 하나로, 줄다리기를 통한 농촌사회의 협동의식과 민족생활의 변화를 알 수 있는 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 1983.6.1
    지정일
    택견은 우리 문화 전통 안에서 전래되어 내려온 맨손 격투문화이자 민속문화로 민간에서 널리 행해졌다. 택견은 ‘각희(脚戱)’, ‘비각술(飛脚術)’이라 표현될 정도로 발기술이 탁월한 무예이다. <br /><br />택견의 수련과정은 크게 혼자 익히기(개인 수련), 마주메기기(상대 수련) 등이 기본이며, 이 과정을 거친 뒤 하는 견주기(겨루기), 본때뵈기(품새 또는 형) 등의 과정이 있다 각 과정은 세분되어 있으며, 과정에 따라 발질과 손질의 동작이 거듭되어 나온다. 혼자익히기는 서서익히기와 나아가며 익히기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마주메기기는 막음질, 얼러메기기, 마주차기, 마주걸이로 구성되어 있다. 견주기는 대걸이와 맞서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때뵈기는 앞에거리 여덟마당, 뒤에거리 네마당, 별거리 여덟마당, 결련거리 네마당으로 구성된다. 또한 택견은 굼실굼실하는 세 박자의 품밟기, 손놀림으로 이루어진 활개짓, 공격의 모체라 할 수 있는 발기술인 발질로 구성되어 있다. 택견은 모두 우리말로 되어 있는 특색이 있다. <br /><br />택견의 특징으로 다른 무술에 비해 질박하고 섬세하며, 부드러운 곡선의 몸놀림으로 공방을 할 수 있다. 택견의 기술들은 모두가 얼르고, 차고, 걸어서 낚아채어 넘어뜨리는 기술로 구성되어 있어 공방일치의 몸놀림을 구사하는 독특한 기법을 가지고 있다.
  • 1983.6.1
    지정일
    유기장은 놋쇠로 각종 기물을 만드는 기술과 그 기술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우리나라 유기의 역사는 청동기시대부터 시작되었고 신라시대에는 유기를 만드는 국가의 전문기관이 있었다. 고려시대에는 더욱 발달하여 얇고 광택이 아름다운 유기를 만들었다. 조선 전기에는 기술이 퇴화한 듯하였으나 18세기에 이르러 다시 성행하여 사대부 귀족들은 안성지역에 유기를 주문하여 생산하도록 하였다. <br /><br /> 유기는 대표적인 구리 합금 금속으로서 각 성분비율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는데, 구리에 주석을 섞는 비율에 따라 이름이 달라지기도 한다. 구리와 아연을 합금하여 만든 그릇은 황동유기라 하는데 노르스름한 빛깔에 은은한 광택이 난다. 구리에 니켈을 합금한 것은 백동유기라 하며 흰 빛을 띤다. <br /><br />유기의 종류는 제작기법에 따라 방짜와 주물, 반방짜 등이 있다. 방짜유기는 북한의 납청유기가 유명하다. 방짜유기는 녹인 쇳물로 바둑알 같이 둥근 놋쇠 덩어리를 만든 후 여러 명이 망치로 쳐서 그릇의 형태로 만든다. 방짜로는 징이나 꽹과리, 식기, 놋대야 등을 만들 수 있다. 주물유기는 쇳물을 일정한 틀에 부어 원하는 기물을 만들어 내는 방법으로, 안성의 맞춤유기는 ‘안성맞춤’이라는 속담이 생겨날 정도로 유명하게 되었다. <br /><br /> 유기장은 지역별로 독특한 양상으로 발전하였고 실용성이 높은 고유의 공예품으로서 가치가 있는 전통적인 금속공예기술이다.
  • 1983.6.1
    지정일
    입사란 금속공예의 일종으로 금속표면에 홈을 파고 <span class='xml2' onmouseover='up2(6406)' onmouseout='dn2()'>금선(金線)</span> 또는 은선(銀線)을 끼워넣어서 장식하는 기법을 말하며 이전에는 ‘실드리다’라는 말로 표현했다. 이러한 입사 기술과 그 기술을 가진 사람을 입사장이라고 한다. 입사공예의 유래는 정확하지 않으나, 기원전 1, 2세기경의 <span class='xml2' onmouseover='up2(6441)' onmouseout='dn2()'>낙랑(樂浪)</span> 출토유물에서 처음으로 선보였고, 신라의 고분에서 나온 유물로 보아 신라시대에는 매우 발달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br /><br /> 입사에는 크게 두 가지 기법이 있는데, 하나는 고려시대부터 전해지는 전통방법으로 청동표면에 정(釘) 끝으로 홈을 파고 그 안에 은선을 박아넣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조선 중기 이후부터 전래된 철입사로 바탕 철의 표면을 넓게 정을 이용해 가로 세로로 쪼아 표면이 껄끄러워지면(거스러미) 그 위에 얇은 금·은판이나 선을 놓고 망치로 쳐서 금속에 붙이는 방법이다. 이중 상감입사는 조각장이 하는 경우가 많았고, 철입사는 대부분 입사장이 담당하였다. 입사하는 문양은 매화, 난, 국화, 대나무, 학, 기린, 사슴, 박쥐, 호랑이, 소나무 등 전통적 소재가 많다.
  • 1983.6.1
    지정일
    발탈은 발에 탈을 쓰고 노는 놀이이다. 유래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경기도 안성지방의 남사당패가 행하던 꼭두각시놀음이 변형되어 주로 중부지방에서 연희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br /><br /> 발탈은 처음에는 허수아비 모양으로 만든 인형의 머리부분을 탈꾼의 발바닥에 씌우고 팔은 노끈으로 연결하여 당기거나 놓으면서 조종했다고 한다. 그 후 광무대 시절에 박춘재는 직접 손에 한삼을 끼고 공연하였으며, 남형우는 양팔 끝에 노끈을 연결시켜 위로 올린 것을 대나무에 연결하고 그 대나무를 양손으로 조종하면서 발탈놀이를 하였다. 초대 발탈 예능보유자인 이동안 씨는 두 가지 방법으로 다하여 왔으나 근래에는 손에 한삼을 끼고 하는 것은 손놀음이 불편할뿐 아니라 장시간 공연하기가 어려워 대나무로 양팔을 움직여서 공연하게 되었다.<br /><br /> 탈판의 구조는 검은 포장으로 가로 약 2m, 세로 약 1m 정도의 포장막을 4각으로 짜서 탈꾼은 그 속에 누워 발만 포장 앞으로 내놓는다. 탈꾼은 발의 움직임과 손의 움직임을 기본으로 하여 노래와 춤 그리고 재담 등을 하고, 포장막 밖에 서는 어릿광대가 탈꾼을 상대해 주고, 양옆에서 피리, 젓대, 해금, 북, 장구 등 삼현육각이 반주를 해준다.<br /><br /> 발탈놀이는 줄인형극과 장대인형극의 조정형식을 갖춘 인형극적 성격과 함께 가면극으로서의 성격도 가미되어 있다. 또한 이야기 속에는 잔재주나 장난기 뿐 아니라 사회를 보는 비판력과 관찰력이 예리하게 반영되어 있으며, 당시 짓눌렸던 서민들의 애환을 꾸밈없이 담고 있다는 데서 다른 지역의 탈놀이에 담긴 내재적 성격과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2018.6.1
    지정일
    경기도 남부에 해당하는 부천, 시흥, 안산, 오산, 화성, 수원, 경기 광주, 안성 등의 마을굿을 경기도당굿이라 한다. 이 마을굿에는 집안 대대로 무업을 세습하는 세습무들에 의해서 굿을 진행하는데 이들 세습무의 남자들을 화랭이 또는 산이라 부르고, 여자들을 미지라 부른다. 경기 남부 화랭이패 또는 산이들이 중심이 되는 경기도당굿의 춤은 넓은 의미로는 경기도당굿 굿판에서 추어지던 춤을 의미하기도 하고, 좁은 의미로는 굿판을 떠나 공연 예술화된 경기도당굿시나위춤을 말하기도 한다. 또한 이 춤의 반주음악이 경기도당굿 무악인 섭채, 반설음장단, 오니굿거리, 진쇠장단, 올림채, 겹마치, 가래조, 발뻐드레, 부정놀이장단 등 전문가도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난해하고 복잡 다양한 음악적 구조를 가진, 이른바 경기시나위이기에 ‘경기도당굿시나위춤’이라는 명명을 하고 있는 것이다. 경기도의 무속적 전통을 배경으로 무대 양식화한 경기도당굿시나위춤으로는 「부정놀이춤」, 「터벌림춤」, 「진쇠춤」, 「깨끔춤」, 「올림채춤」, 「제석춤」, 「도살풀이춤」 등이 있으며, 그 중심에 고)매헌 김숙자선생이 있다.

    매헌 김숙자(梅軒 金淑子: 1926-1991)는 화성 재인청 출신인 부친 김덕순에게 무속에 담겨있는 가무악을, 모친 정귀성에게 무속전반을 배웠다. 세습무가 출신인 김숙자의 경기도당굿시나위춤에 특징적 요소는 경기도 지방에 전승되어 온 경기도당굿에서 화랭이와 무녀가 추던 의식무 성격의 춤을 발전시켜 전통무용으로 재창조한 것이다. 따라서 김숙자의 춤들은 원래 경기 도당굿 굿판에서 추던 무속춤이었지만 재창조와 전승과정에서 무대화되고 예능화된 대표적인 무속 계열의 춤이다.

    매헌 김숙자(梅軒 金淑子: 1926-1991)의 부친 김덕순과 모친 정귀성으로부터 김숙자에게 전승되어진 경기도당굿시나위춤과 경기류 민속춤은 현재 그의 제자 이정희를 통해 명맥이 유지되고 있으며 이정희의 제자 한수문 등으로 전승되고 있다.
  • 1993.6.4
    지정일
    1년 24절기 가운데 하나인 청명일(양력 4월 5, 6일경)에 사용하기 위해 빚어진 민속주이다. 조선시대에 한강 상류의 돛단배 집결지인 충주지방 일대에 오가는 손님들이 즐겨 마시기 시작하여 옛 사대부들을 위한 손님 접대용은 물론 명절과 제삿날에 애용하던 술로 궁중에 올리기도 했다고 한다.

    순찹쌀과 재래종 통밀로 제조한 누룩만을 사용하여 낮은 온도에서 약 100일 동안 발효 숙성시켜 빚는다.

    충주 청명주는 알콜 농도가 높고, 색·향·맛이 뛰어나다. 현재 기능보유자 김영기씨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 2020.6.5
    지정일
    모보경 명창은 모친인 최승희 명창의 영항을 받아 어렸을 때부터 소리를 많이 듣고 자란 환경 속에서 자연스렵게 소리에 입문하게 됐다,
  • 1992.6.5
    지정일
    방자유기는 불에 녹여낸 합금덩어리를 망치로 두드려서 만들어내는 유기를 말하며, 구리와 주석을 78:22로 합금하여 만든다. 이 비율이0.01%라도 틀리거나 아연이나 다른 합금이 조금이라도 섞이면 두드리는 과정에서 터져버린다.

    방자는 징과 꽹과리 같은 타악기를 만드는데 주로 사용되며 손으로 만져도 손자국이 나지 않고 독성이 없기때문에 식기류 전반에 쓰인다.

    방자는 아무리 실력이 뛰어난 사람도 혼자서는 제작할 수 없고 6명이 한조를 이루어야 한다. 한사람은 화로에 바람을 넣어주는 풍금을 잡고, 한사람은 쇠를 다시 불에 달군다. 한사람이 달군 쇠를 집게로 잡으면서, 세 사람이 망치를 들고 차례로 내려친다. 어떤 고정된 틀이나 보조기구는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보유자 김문익은 12살 때 유기장 최두건 공방에 입문하여 13년간 기술을 연마했다. 이후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이봉주가 운영하는 공예사에서 17년간 일하며 평안북도 정주의 납청방자인 양대(큰 놋그릇)유기 제작기법을 익혔다.

    김문익의 기술은 풍물용 악기 제작에 특화되어 있다. 적정량의 합금이 악기의 소리를 만드는데 중요한데, 그는 악기를 만들 때 구리 3㎏에 주석 8.25㎏으로 주석의 함유량을 높이고 소량의 금, 은을 섞어 사용한다.

    또한 김문익은 징과 같은 타악기를 만들 때 적정소리를 잘 나오게 하는 세밀한 과정인 '울음깨기'에 탁월하다.

    김문익의 작품은 품질이 뛰어난 것으로 정평이 나 있고, 이는 김덕수 사물놀이패가 그가 만든 징과 꽹과리를 오랫동안 사용했던 사실로 뒷받침된다.
  • 1994.6.7
    지정일
    굿은 형태에 따라 크게 선굿과 앉은굿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선굿은 무당이 서서하는 일반적인 굿을 뜻하고, 앉은굿은 충청지역에서 무당이 앉아서 주로 경을 읽는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역사적으로 불교, 도교 등 다른 종교와 상호관계를 맺으며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앉은굿은 굿에 춤이 더해져 한국 무속의 한 갈래로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대전을 중심으로 한 충청지역은 앉은굿의 전통이 강해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앉은굿 중심 무속문화권을 이룬다.

    대전의 앉은굿은 안택굿과 미친굿, 설경이 있는데, 안택굿과 미친굿의 예능보유자는 신석봉으로 1940∼50년대 행했던 방식으로 재현하고 있다. 설경의 예능보유자인 송선자는 1977년부터 무업에 종사해오면서 고(故) 황하청으로부터 15년간 설경을 비롯한 앉은굿을 전수받았다.
  • 2019.6.7
    지정일
    익산 성당포구마을은 서쪽으로 금강이 위치하며 고려에서 조선 후기까지 세곡을 관장하던 성당창이 있던 곳으로 성당포 혹은 성포라 불리던 곳이다. 전통적인 포구마을의 역사를 그대로 담아낸 벽화와 황포돛배, 금강의 생태를 배우며 여유를 느낄 수 있다.

    성당포구마을에서는 포구역사, 금강변 기행코스, 황포돛배타기, 포구 사진찍기, 포구 그림그리기 등을 통해 어부들의 삶의 시련과 애환이 고스란히 묻어 있는 포구에서의 삶을 느낄 수 있는 포구기행 프로그램과 금강 생태탐방학습, 고란초자생지 관찰, 수리부엉이, 철새 관찰 등을 할 수 있는 금강 생태탐방 프로그램이 있다. 특히 익산시 성당포구 마을에는 희귀보호식물인 고란초의 서식지가 위치하고 있어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다.
  • 2019.6.7
    지정일
    조용안

    - 1981년 입문

    - 1988년 전국고수대회 국무총리상

    - 1995년 전국고수대회 대통령상

    - 강도근·박동진·오정숙·조통달·안숙선 명창 등과 공연

    고수는 판소리에서 북가락을 하는 사람으로, '수고수 암명창'이란 말이 있듯이 판소리에서 고수는 뗄 수 없는 필수적인 것이다,

    고수의 역할은 반주자로 북장단을 통해 소리와 조화를 이루어 소리판에 생기를 불어넣고, 일정한 속도를 유지할 수 있게 조정하며, 추임새를 통해 더 좋은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기도 한다.

    보유자는 전계문 선생부터 출발하여 송영주 선생을 거쳐 이어지는 전라도 북부지역의 북가락을 잇고 있다.
  • 2019.6.7
    지정일
    [박계호]
    - 1986년 입문, 대를 이어 합죽선 제작
    - 1999년 제29회 전국공예품대전 입선
    - 2014년 미국 대통령 국빈방문 선물 제작 및 고궁박물관 제작 시연
    - 2017년 제42회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 입선

    「선자장」은 전통 부채를 만드는 기술과 그 기능을 보유한 장인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부채는 형태상으로 크게 둥근 모양의 부채와 접고 펼 수 있는 접부채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접부채인 합죽선은 현재까지 전승되는 최고 수준의 정교함과 세련미를 갖춘 부채로서, 고려시대부터 나전, 금속, 칠, 옥공예 등과 접목되어 나라를 대표하는 공예품이었다.

    합죽이란 대나무의 겉대와 겉대를 붙여서 만든 것으로 고려시대에 대나무의 주산지인 전남 담양에서 처음 생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합죽선은 조선시대에는 전라감영이 있는 전주에서 선자청이라는 관청의 장인들이 주로 제작하였고 외교나 대외무역에도 활용되었다.
  • 2019.6.7
    지정일
    김한일 보유자 소개

    - 1960년 입문
    - 1974년부터 대장간 운영
    - 1999년 제24회 전승공예대전 입선
    - 2009년 기능전승자 선정 (노동부)

    야장은 금속을 달구고 두드려 연장과 기구를 만들거나 수리하는 장인으로, 대장장이로 불린다. 대장장이는 오랜 옛날부터 무기나 농기구를 제작했던 중요한 직업으로, 일찍부터 역사서에 나타난다.

    과거 시장이나 장터에 많이 성업을 하였으나 시대의 변화와 대량 생산 제품으 보급으로 점차 사라지고 있다.

    현재 대장간은 용머리고개에 있으며, 농기구와 전통칼, 생활용품 등을 제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