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무형문화재 제11-2호 평택농악 (平澤農樂) +
분 류 |
무형문화재 / 전통 공연·예술 / 음악 |
지 정 일 |
1985.12.1 |
소 재 지 |
경기도 평택시 |
평택은 소샛들이라는 넓은 들을 끼고 있어 예로부터 농산물이 풍부하였고, 이는 평택농악을 이루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또한 평택 근처의 청룡사는 일찍부터 사당패들의 근거지가 되어 조선 말기에는 그들의 농악이 크게 발달하였다. 그래서 평택농악은 두레농악인 동시에 걸립패농악(중들이 꽹과리치면서 염불하고 동냥하는 일)의 성격을 갖는다.
농악에 사용되는 악기로는 꽹과리, 징, 북, 버꾸, 호적, 나팔이 있다. 편성은 영기수, 농기수, 나팔수, 호적수, 상쇠, 부쇠, 종쇠, 징수 1, 징수 2, 설장구, 부장구, 상장구, 북, 상버꾸, 부버꾸, 종버꾸, 꼬리버꾸, 상무동, 종무동, 삼무동, 칠무동, 중애(사미), 양반으로 되어있다.
농악수들은 옛날 군졸들이 입었던 의상을 입고 그 위에 색띠를 걸쳐 매며 머리에는 벙거지나 고깔을 쓴다. 악기에 있어서 징과 북이 타지역에 비하여 적으며 소고와 법고의 구별이 없다.
가락의 가림새가 분명하며 노래굿이 있는 것도 특이하다. 또한 길군악칠채는 경기농악에만 보이는 장단으로 평택농악의 길군악칠채는 다른 지역과 구분된다.
평택농악은 두레농악의 소박한 전통에 뿌리를 두면서도 공연성이 뛰어난 남사당패 예인들의 전문적인 연희를 받아들여 복합적으로 구성한 수준높은 농악이며, 무동놀이(어른의 목말을 타고 아이가 춤추는 놀이)가 특히 발달하였다.
Recommended
- /data/etc/k_culture_12_mainimg.jpg
- /data/etc/k_culture_12_img_1.jpg
- /data/etc/k_culture_12_img_2.jpg
- /data/etc/k_culture_12_img_3.jpg
- /data/etc/k_culture_12_img_4.jpg
- /data/etc/k_culture_12_img_5.jpg
- /data/etc/k_culture_12_img_6.jpg
- /data/etc/k_culture_12_img_7.jpg
- /data/etc/k_culture_12_img_8.jpg
- /data/etc/k_culture_12_img_9.jpg
- /data/etc/k_culture_12_img_1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