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무형문화재 제34호 강령탈춤 (康翎탈춤)

K-CULTURAL HERITAGE

Everlasting Legacies of Korea

국가무형문화재 제34호 강령탈춤 (康翎탈춤) +

분 류 무형문화재 / 전통 공연·예술 / 연희
지 정 일 1970.7.22
소 재 지 서울
탈춤은 조선 전기까지 각 지방에서 행해지던 가면놀이이다. 17세기 중엽에 이르러 궁중의 관장하에 “산대”라 불리는 무대에서 상연되던 산대도감극(山臺都監劇)의 형태로, 인종 12년(1634)에 궁중에서의 상연이 폐지되자 민중에게 유입되어 전국으로 전파되었다. 황해도탈춤은 황해도의 평산과 기린의 남북을 중심으로 북쪽의 봉산탈춤형과 남쪽의 해주탈춤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강령탈춤은 해주탈춤형으로 분류된다.

강령탈춤은 매년 단오에 행해지는데 사자춤·말뚝이춤·목중춤·상좌춤·양반과 말뚝이춤·노승과 취발이춤·영감과 할미광대춤의 7개 과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놀이에 앞서 탈과 의상을 갖추고 음악을 울리면서 공연장소까지 행렬하는 길놀이를 한다. 등장인물은 마부·사자·원숭이·말뚝이·목중·상좌·맏양반·둘째양반·재물대감·도령·영감·할미·용산삼개집·취발이·노승·소무 등 모두 20명이다. 파계승에 대한 풍자와 양반계급에 대한 모욕, 일부처첩의 삼각관계와 서민의 생활상에 대해 다루고 있다. 춤은 느린 사위로 장삼소매를 고개 너머로 휘두르는 장삼춤이 주가 되며, 장단에는 도드리, 타령, 자진굿거리가 주로 쓰이지만 소리의 사설이 30여 가지나 되고 소리마다 장단이 특이하다.

강령탈춤의 내용 중에서 양반 3형제가 나와 양반의 근본을 찾고 말뚝이를 부르거나 말뚝이가 재담하는 과장은 경남의 오광대와 비슷하고, 할미광대가 물레를 돌리는 장면은 가산오광대와 매우 유사한데, 이러한 유사점은 탈춤의 전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사실적인 얼굴 모습을 묘사한 인물탈을 쓰고 장삼춤을 추는 아담하고 부드러운 점이 같은 황해도 탈춤인 봉산탈춤과 다른 특징이다.

Recommended

  • /data/etc/k_culture_40_mainimg.jpg
  • /data/etc/k_culture_40_img_1.jpg
  • /data/etc/k_culture_40_img_2.jpg
  • /data/etc/k_culture_40_img_3.jpg
  • /data/etc/k_culture_40_img_4.jpg
  • /data/etc/k_culture_40_img_5.jpg
  • /data/etc/k_culture_40_img_6.jpg
  • /data/etc/k_culture_40_img_7.jpg
  • /data/etc/k_culture_40_img_8.jpg
  • /data/etc/k_culture_40_img_9.jpg
  • /data/etc/k_culture_40_img_10.jpg
  • /data/etc/k_culture_40_img_11.jpg

Youtub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