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0호 휘모리잡가 (휘모리雜家)

K-CULTURAL HERITAGE

Everlasting Legacies of Korea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0호 휘모리잡가 (휘모리雜家) +

분 류 무형문화재
지 정 일 2008.12.10
소 재 지 인천광역시 서구
전통사회에서 전승되어 조선말기에서 20세기 초에 특히 성행하였던 노래의 하나로서 전문예능인들의 노래, 곧 기생·사당패·소리꾼과 같은 전문가들이 긴 사설을 기교적 음악어법으로 부르는 노래를 잡가라고 하며 이보다 단순한 비전문가들의 노래인 민요와 구별되는 개념으로 쓰인다.

휘모리 잡가는 빠른 속도로 몰아간다는 뜻의 잡가이고 서서 부른다. 장형시조의 사설내용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해학적이고도 재미있는 말솜씨로 엮어지고, 사설시조와 유사한 점이 많으나 장단과 창법에 있어서 구별된다.

소리꾼들이 부를 때 흔히 처음에는 긴잡가를 부르고 다음에 입창을 부르고 나서 마지막에 휘모리잡가를 불렀다.

현재 전승되고 있는 휘모리잡가로는 곰보타령·생매잡아·만학천봉·육칠월·흐린 날·한잔 부어라·병정타령·순검타령·기생타령·바위타령·비단타령·맹꽁이타령 등이 있다.

Recommended

  • /data/etc/k_culture_426_mainimg.jpg
  • /data/etc/k_culture_426_img_1.JPG
  • /data/etc/k_culture_426_img_2.JPG
  • /data/etc/k_culture_426_img_3.JPG
  • /data/etc/k_culture_426_img_4.JPG

Youtub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