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23-1호 청송 한지장

K-CULTURAL HERITAGE

Everlasting Legacies of Korea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23-1호 청송 한지장 +

분 류 무형문화재 / 전통기술 / 공예
지 정 일 1995.6.30
소 재 지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에서 전통적인 과정으로 종이를 생산했던 곳인 지소는 안덕면 지소리와 파천면 신기리, 중평리 등 모두 세 곳이 있었다.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신기2리 감곡마을은 참닥나무가 많고 물이 맑아, 오래전부터 제지 마을로 알려져 왔다.

이 마을에서는 1920년대까지 20여 가구가 한지를 생산했으며, 제지를 생업으로 하지 않는 주민들도 부업으로 삼았다. 그러나 유리창의 보급으로 창호지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고, 한지를 주로 사용하던 각종 의례도 현대화되는 등, 한지 소비가 급감하여 한지 공방은 크게 위축되었다.

이처럼 어려운 상황에서도 선대 기능 보유자인 이상룡은 송강리로 이주하여 그의 5대조 원천 이석일로부터 시작된 가업을 이어오며,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23호 청송 한지장으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그의 장남인 이자성이 가업을 이어받아 청송 한지장 기능 보유자로 활동하고 있다. 신기리 감곡마을에 있는 벽진이씨 재실인 삼체정은 가업을 시작한 원천 이석일과 그의 아우인 감천 이재일, 석천 이향일 삼형제의 재실 겸 정자이다.

최근 화선지와 소지, 책지, 화가들이 쓰는 벽보지 등으로 전통한지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다.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23호 청송 한지장 기능 보유자인 이자성은 수입 닥나무를 쓰지 않고 닥나무 산지인 청송군 일대와 예천 용궁 등지에서 원료를 수집하여 사용한다.

이자성은 공방 근처에 6,000여㎡의 닥나무밭을 일구었을 뿐만 아니라, 청송한지체험관을 조성하여 청송 한지 보급에 힘쓰고 있다

Recommended

  • /data/etc/k_culture_477_mainimg.jpg
  • /data/etc/k_culture_477_img_1.JPG
  • /data/etc/k_culture_477_img_2.jp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