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무형문화재 제48호 단청장 (丹靑匠)

K-CULTURAL HERITAGE

Everlasting Legacies of Korea

국가무형문화재 제48호 단청장 (丹靑匠) +

분 류 무형문화재 / 전통기술 / 미술
지 정 일 1972.8.1
소 재 지 경상남도 양산시
단청은 청색·적색·황색·백색·흑색 등 다섯 가지 색을 기본으로 하여 궁궐·사찰·사원 등에 여러 가지 무늬와 그림을 그려 장엄하게 장식하는 것을 말한다. 단청은 단벽(丹碧)·단록(丹綠)·진채(眞彩)·당채(唐彩)·오채(五彩)·화채(畵彩)·단칠(丹漆) 등의 다른 이름이 있고, 이에 종사하는 사람을 단청장(丹靑匠)·화사(畵師)·화원(畵員)·화공(畵工)·가칠장(假漆匠)·도채장(塗彩匠) 등으로 부른다. 승려인 경우에는 화승(畵僧), 불화에 숙달된 승려는 금어(金魚), 단순한 단청장은 어장(魚杖)이라고도 일컫는다.

우리나라 단청은 삼국시대의 고분 등에서 기원을 살필 수 있고, 불교의 수용과 함께 더욱 발전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단청을 하는 과정은 먼저 단청을 올릴 바탕을 닦는 일부터 시작한다. 아교를 넣고 묽게 끓인 물을 바탕에 바르고 거기에 가칠을 다섯 번 반복하여 초지를 마련한다. 초지 무늬를 건물에 올리기 위해서 전체 면에 청녹색 흙을 바르는 청토바르기를 한다. 그리고 도본(圖本)을 해당 면에 대고 분주머니를 두드리면 본의 무늬에 있는 송곳구멍으로 가루가 나와 바탕에 무늬가 박히게 된다. 이렇게 타분작업(打粉作業)이 끝나면 그 본에 따라 광물성 안료로 청·적·황·백·흑의 오색을 입히는데 각기 맡은 색만 찾아 그려 칸을 메워 단청을 끝내게 된다.

단청은 목재의 보존과 목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표면도장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건물의 위엄과 신성함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건축에 많이 이용된다. 단청은 불교나 유교가 성행했던 한국·중국·일본에서 유행했으나, 오늘날까지 단청문화의 전통이 계승되는 나라는 우리나라 뿐이다.

Recommended

  • /data/etc/k_culture_52_mainimg.jpg
  • /data/etc/k_culture_52_img_1.jpg
  • /data/etc/k_culture_52_img_2.jpg
  • /data/etc/k_culture_52_img_3.jpg
  • /data/etc/k_culture_52_img_4.jpg
  • /data/etc/k_culture_52_img_5.jpg
  • /data/etc/k_culture_52_img_6.jpg
  • /data/etc/k_culture_52_img_7.jpg
  • /data/etc/k_culture_52_img_8.jpg
  • /data/etc/k_culture_52_img_9.jpg
  • /data/etc/k_culture_52_img_10.jpg
  • /data/etc/k_culture_52_img_11.jpg
  • /data/etc/k_culture_52_img_12.jpg
  • /data/etc/k_culture_52_img_13.jpg

Youtub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