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중음악 1 페이지 > Little Korea

K-POP & TROT

Explore the World of K-Pop

  • 2020.5.2
    방송일
    '잊지 말아요'는 2009년에 크게 히트친 드라마 '아이리스'의 OST 이다.

    스페인에서 온 '라라 베니또'가 글로벌 싱어 프로젝트 - 탑골랩소디에서 한국어와 스페인어로 불러 많은 인기를 끌었다.
  • 1987.5.7
    발매일
    김완선은 1986년 KBS 가요대상 신인상을 시작으로 1987년부터 91년까지 5회 연속 올해의 가수상을 수상했다.

    1986년 데뷔한 이후로 “한국의 마돈나”라는 수식어를 만들어낸 김완선은 ‘10대 틴아이돌 스타 시대’, ‘본격적인 댄스뮤직의 시대’, ‘보는 음악의 시대’를 열었다.

    한국 대중음악사에서 현대적 의미의 여성 댄스가수의 시초 격 존재로 평가되고 있다.
  • 1984.5.18
    발매일
    빙글빙글은 대한민국의 가수 나미의 노래이다.

    1980년대하면 제일먼저 떠올리는 노래이자, 국민 노래방 애창곡중 하나이며, 티아라, 백지영, 윤도현밴드 등에 의해 리메이크되기도 하였으며, 영화 써니의 OST로도 실렸다.

    1980년대에 활동하여 이름을 날렸으며 '빙글빙글', '인디언 인형처럼' 같은 댄스 곡을 히트시킨 댄스 가수로 유명하다.

    나미와 붐붐으로 활동하던 시기도 있었는데 멤버 붐붐의 두 멤버 중 한 명이 DJ철이(본명 신철)이다
  • 2020.5.23
    방송일
    글로벌 싱어 프로젝트 - 탑골랩소디

    러시아에서 온 안나가 한국어와 러시아어로 부른 마야의 '진달래꽃'
  • 1990.6.2
    발매일
    1989년 나미와 붐붐을 결성해 발표한 곡 '인디언 인형처럼'은 메가 히트하며 토끼춤, 바가지 머리, 오버사이즈 옷까지 유행시켰다.

    나미는 아버지가 동두천 미군 부대 앞에서 레코드 가게를 했기 때문에 아주 어릴적부터 음악과 친숙했다고 한다.

    콧소리가 들어간 허스키한 목소리로 1980년대부터 90년대 초까지 활동하며 '빙글빙글', '인디언 인형처럼', '영원한 친구', '슬픈 인연', '유혹하지말아요', '그대곁을 떠나겠어요', '미운정 고운정', '마지막 인사', '사랑이란 묘한거야', '미움인지그리움인지', '님의 계절' 등이 크게 히트하며 많은 사랑을 받았다.
  • 1985.6.5
    발매일
    독도는 우리 땅은 1982년에 정광태가 부른 대한민국의 가요이다. 독도를 소재로 한 노래이다.

    1996년부터 초등학교 교과서에 5절까지의 가사가 실렸으며, 독도노래비를 건립하기도 하였다.

    정광태는 1998년 독도로 본적을 옮겼고, 초등학교 순회 강연을 하는 등 독도와 관련된 활동을 활발히 펼쳤다.
  • 1985.6.10
    발매일
    1978년 블렉테트라 2기 멤버로 TBC 제1회 해변가요제에 출전, 《구름과 나》라는 노래로 우수상을 받았다.

    1981년부터 1985년까지 송골매의 리드 보컬이었다.

    송골매 탈퇴 후 발표한《희나리》,《문을 열어》등의 노래가 인기를 끌었다.

    희나리의 번안곡인《기허풍우(幾許風雨)》는 홍콩 영화《영웅본색》에 나오기도 하였다.
  • 1988.6.15
    발매일
    변진섭 - 발라드의 황제

    1966년 서울에서 태어난 변진섭은 경희대학교 재학시절 동아리 '탈무드' 5기 멤버로 음악활동을 시작하였고 1987년도에 MBC 신인 가요제에 참여하여 수상을 한 것이 계기가 되어 연예계에 데뷔하였다.

    이 노래는 1988년도에 발표되었던 1집으로 '너무 늦었잖아요' '새들처럼' '네게줄 수 있는건 오직 사랑뿐'이 히트하면서 180만장의 앨범을 판매하는 기록을 세웠다.

    변진섭은 한국 대중가요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킨 가수로 평가 받고 있다.
  • 1995.7.5
    방송일
    1995년 발표된 김건모의 3집 제목이자 동명의 타이틀곡. 처음엔 '아름다운 이별'을 타이틀곡으로 홍보했지만 홍보가 전혀없었던 이 곡이 갑자기 큰 인기를 얻었다.

    한국 가요계의 레전드급 히트곡 중 하나며, '핑계'와 함께 김건모하면 떠올리는 상징적인 곡이다.

    가히 불후의 명곡이라는 타이틀이 전혀 아깝지 않은 곡이다.
  • 1999.7.19
    발매일
    조이디는 1999년에 1집 "For The Good Time"을 발매하면서 데뷔한다.

    보컬 : 테리 (본명 김기태)
    래퍼 : 지노 (본명 황진호)

    1집 타이틀곡인 9 to 5은 나이트클럽에서 틀어주는 대표곡 중의 하나로 2020년 현재까지도 사랑을 받고 있다.
  • 1991.8.1
    발매일
    1967년생인 심신은 1986년 그룹 외인부대의 보컬로 활동을 시작했다.

    1990년 솔로로 데뷔하여 활동하며 '그대 슬픔까지 사랑해', '오직 하나뿐인 그대', '욕심쟁이', '성격차이', '갈망'등의 히트곡등을 내며 90년대 초반 많은 인기를 얻었다.
  • 1991.8.1
    발매일
    가수 이승철이 1991년에 발표한 팝 록 장르의 노래로서, 그의 정규 앨범《이승철 1집 Part 2》에 수록된 곡이다. 송재준이 작곡, 이승호가 작사를 하였으며, 장고웅이 음반 프로듀싱을 하였다.

    걸 그룹 소녀시대는 2007년 11월 1일에 발표한 첫 번째 정규 앨범에 새롭게 리메이크한 '소녀시대' 를 수록하였고, 앨범 타이틀 곡으로 선정하여 장기간 공연 활동을 하였다.

    "소녀시대"란 그룹 이름은 이 노래에서 영감을 받기도 하였다. 당시 공연 활동을 할 때 원곡을 불렀던 가수 이승철과 종종 함께 무대에 서면서 주목을 받기도 하였다
  • 1927.8.4
    윤심덕 자살일
    한국 최초의 대중가요로 알려진 윤심덕의 "사의 찬미"는 루마니아 작곡가 이오시프 이바노비치가 작곡한 월츠로 "도나우강의 잔물결"이다.

    1920년대 일본에서 번안가요로 불린 것을 다시 한국 가사를 붙여 취입한 것이다.

    한국 최초의 여성 성악가로 기록된 인물이며 '신여성'을 대표하는 소프라노 윤심덕과 그의 애인이자 천재 극작가인 김우진의 일화를 그린 작품이다.

    1927년 8월 4일, 두 사람은 일본에서 부산으로 향하는 관부연락선을 타고 귀국하던 중 현해탄에 투신 자살했다.

    이 노래를 리메이크한 김정호 (1952년~1985년) 는 가장 한국적인 가요를 구사했다고 평가받는 천재음악가였다.
  • 1989.8.10
    발매일
    ♡ 1978년 제2회 MBC 대학가요제에 출전해서 '돌고 돌아가는 길'로 금상을 수상하면서 화려하게 데뷔했다.

    1989년 발매된 2집 앨범 수록곡 '만남'이 이듬해인 1990년 가요톱텐 골든컵까지 수상하면서 그야말로 국민가요에 등극했다. 탈북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인기곡으로도 꼽힌다.
  • 1983.8.15
    발매일
    [1992년 콘서트 동영상]

    마치 판소리 한 자락을 연상케 하는 김수철의 ‘별리’는 ‘못다 핀 꽃 한 송이’와 더불어 1983년 발표된 1집의 명곡으로 꼽힌다.

    그룹 작은 거인 시절에 불렀던 ‘일곱색깔 무지개’ 등과는 사뭇 다른 노래다.

    그가 록음악에 한국적인 정서를 녹여넣는 시도 끝에 탄생한 국악가요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