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음악 1 페이지 > Little Korea

K-TRADITIONAL MUSIC

5,000 Years of Korean Soul

  • 2021.1.24
    추천무용
    ♡ ‘벽파입춤 가인여옥’은 벽파 박재희 선생이 부채를 활용하여 안무한 입춤 형식의 작품이다.

    입춤은 원래 특정한 춤사위나 구성없이 즉흥성이 강조된 춤이지만 점차 독자적인 양식을 갖추게 되었다.

    ‘옥과 같이 아름다운여인’이라는 뜻의 ‘가인여옥’은 단아하고 절제미가 돋보이면서도 흥과 멋이 있는 여인의 심성이 잘 표현된 작품이다.

    ○ 출연/박재희(청주대 교수, (사)벽파춤연구회 이사장)
  • 2021.1.25
    추천음악
    ♡ [구음시나위]

    무속음악에 뿌리를 둔 즉흥적인 기악합주곡, 시나위에 구음을 얹은 작품.

    여러 소리가 하나로 어우러져 빚어내는 부조화 속의 조화, 혼돈 속의 질서가 돋보인다.

    대금 이생강, 아쟁 김일구, 거문고 김무길, 가야금 지성자, 장구 김청만, 구음 안숙선, 징 최만
  • 2021.1.25
    추천음악
    ♡ 강원도 지방의 민요이다. 강원도아리랑, 정선아리랑과 함께 강원도 산간지방의 특유한 정서가 새겨진 민요이나 전국적으로 널리 퍼져 있다

    ○ 노래/조경희·이금미·강효주·채수현
    ○ 피리/이호진, 대금/원완철, 해금/김선구, 가야금/박준호, 아쟁/배런, 장구/강형수
  • 2021.1.26
    추천음악
    ♡ 쑥대머리는 옥중의 춘향이가 쑥대강이처럼 산발한 머리 형상을 하고 있음을 나타낸 말이다.
  • 2012.1.26
    추천음악
    ♡ 소리꾼 유태평양이 KBS 방송국 '불후의 명곡' 프로그램에서 불렀던 노래이다.

    원곡은 트로트가수 주현미가 불렀으며, 국악과 트로트가 절묘하게 어울리는 곡으로 편곡되었으며, 실력파 판소리 소리꾼 유태평양이 불렀다.
  • 2021.1.27
    추천음악
    ♡ 4인놀이는 윤서경, 이영섭, 신현석, 이재하가 음악으로 놀아보고자 모인 단체이다.

    한국전통음악에 대한 뿌리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어떠한 장르와 악기의 틀에도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로운 음악을 연주한다.
  • 2021.1.27
    추천음악
    ♡ 유태평양은 1992년생이다. 국악을 하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조통달 명창 아래서 국악을 공부하며 어린 시절을 보냈다.

    유태평양은 말이 트이기도 전에 사물놀이, 아쟁, 가야금을 익히며 1998년 여섯 살 때 판소리 '흥부가'를 최연소 완창에 성공했던 국악 신동이다.

    현재는 국립창극단 단원으로 활발히 활동 중이다.
  • 2021.1.28
    지정일
    ♡ 버나돌리기는 국가 지정 중요무형문화재 3호로 지정된 '남사당' 연희의 한 종목이다.

    버나잡이와 소리꾼인 매호씨가 주고받는 재담과 창이 특징으로 놀이판의 흥을 돋운다
  • 2021.1.29
    추천음악
    ♡ 함경남도 북청의 '돈돌날이'는 명절 (설, 한식, 단오, 추석 등) 에 마을마다 신명나게 놀아온 민속놀이로, 어원은 '동틀 날'이며, '회전'을 의미하며 '제자리로 되돌아온다' 는 뜻이며, 원을 상징하기도 한다.

    이런 '돈돌날이' 는 북청군을 비롯하여 함경남도 함흥, 함주, 정평, 이원, 풍산, 단천, 삼수, 갑산, 함경북도 길주, 명천, 성진 등에서 널리 불리어진 민요이다.

    특히 북청군의 '돈돌날이' 놀이는 한식 이튿날을 중심으로 속후면 모래산에서 부녀자들이 달래를 캐는 풍습에서 전래되었다.

    부녀자들은 달래를 캐고 나서 마을 사람들과 함께 심신을 달래는 대동놀이를 하였는데 이것이 '돈돌날이' 놀이의 기원이다.
  • 2021.1.29
    추천음악
    ♡ 서울 · 경기지방의 민요 중 하나로 조선말기 경복궁을 중수할 때 불리던 민요이다

    ○ 민요/이은혜·김세윤·박민주
    ○ 피리/박지원, 대금/오교선, 해금/황한나, 아쟁/진민진, 가야금/하소라, 거문고/박혜신, 장구/강정용
  • 2021.1.30
    추천음악
    ♡ 환경오염으로 병에 걸린 용왕에게 특효약이라는 토끼의 간을 찾으러 육지로 올라간 자라가 토끼에게 훈련대장을 시켜준다고 거짓말을 하며 토끼를 용궁으로 데리고 온다.
  • 2021.1.31
    추천음악
    여창가곡 우락은 우조로 된 여창가곡 중에서 가락의 변화와 시김새가 특히 멋스러운 곡으로 궂은 날씨에도 임이 찾아와주길 바라는 여인의 마음을 청아하고 고운 목소리로 아정하게 전합니다.

    2012년 KBS 국악대상 정가부문 수상자
  • 2021.1.31
    추천음악
    경풍년(慶豊年)이란 ‘풍년을 기뻐한다’는 뜻으로 궁중행사에서 축하용 음악으로 연주될 때 붙여진 이름이다.

    성악곡인 가곡 중에서 관악기 편성으로 기악화한 것이다.

    ○ 아쟁/김창곤·김인애, 생황/윤형욱
  • 2021.2.1
    추천음악
    크라운-해태제과가 주최하는 '영재국악회'는 국악영재들에게 대형무대에서 공연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더 큰 꿈을 키워 나갈 수 있도록 응원하기 위해 열리는 공연입니다.

    '아리'는 초등학생부터 중학생까지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의 전통적인 노래와 창법을 바탕으로 한 전통음악과 창작곡을 연주하는 합창단 입니다.
  • 2021.2.1
    추천음악
    ♡가사는 조선시대에 발달한가사문학과 문인들이 즐겨읽던 중국의 고전 명문장을 가곡과 시조와 비슷한 발성으로 노래하는 음악이다

    대금 이삼스님, 거문고 이오규, 해금 윤문숙, 장구 사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