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역사 1 페이지 > Little Korea

K-HISTORY

Meaningful Days of Korean History

  • 1961.6.1
    창설일
    1961년 6월 1일부터 전국 16개 대학 ROTC(학생군사훈련단) 1기생 모집이 시작되었다.

    ROTC 제도는 효율적인 초급장교 충원을 위한 것으로 미국의 학군제도를 모델로 한 것이다.

    1기생은 3대1의 경쟁을 뚫고 2,642명이 합격했는데, 이들 중 1,768명이 1963년 임관되었다.
  • 2010.6.1
    법정기념일
    의병의 날은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의병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고 국민의 나라사랑 정신을 고취할 수 있는 행사를 개최하는 대한민국의 기념일로, 매년 6월 1일이다.

    2010년 5월에 법정기념일로 제정되었고. 2011년부터 기념하고 있다.
  • 1986.6.2
    경기일
    온 세계 수십억 인구의 깊은 관심 속에 개막된 멕시코 월드컵 축구대회가 열렸습니다.

    32년 만에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우리나라 대표 팀은 세계의 정상들과 혈전을 벌였습니다.

    아르헨티나와의 대전에서 초반에 3 골을 내주었으나 끝까지 경기를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했습니다.

    마침내 주장 박창선 선수가 1 골을 만회해 우리나라 월드컵 축구사상 첫 골을 장식했습니다.
  • 1990.6.4
    회담일
    1990년 6월 4일 미국을 방문중이던 노태우 대통령과 소련의 고르바초프 대통령이 샌프란시스코에서 처음으로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날 회담에서 두 정상은 양국 관계를 수교 관계로 발전시키는데 합의했다.

    이후 모스크바(1990년 12월)와 제주도(1991년 4월)에서 양국의 정상회담이 추가로 열렸다.
  • 1956.6.6
    법정공휴일
    ‘현충일’은 국권회복을 위하여 헌신·희생하신 순국선열과 전몰호국용사의 숭고한 애국·애족정신을 기리고 명복을 기원하기 위해 1956년에 제정된 기념일이다.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고 순국선열 및 전몰장병의 숭고한 호국정신과 위훈을 추모하는 행사를 하며 조기 게양을 한다.
  • 1975.6.7
    승리일
    1975년 6월 7일 유제두 선수가 일본에서 열린 WBA 주니어 미들급 선수권 쟁탈전에 나섰다.

    이날 유제두선수는 일본의 와지마고이찌를 7회 KO승으로 승리하여 새로운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
  • 1973.6.8
    기념일
    1973년 6월 8일 포항제철 용광로에 불을 붙이는 화입식(용광로에 처음으로 불을 붙이는 의식)이 열렸다.

    이 용광로는 국내 최초의 것으로 포항제철은 본격적인 종합제철공장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 1994.6.10
    개관일
    1994년 6월 10일 순국선열의 위업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전쟁기념관의 개관식이 열렸다.

    서울시 용산구의 옛 육군본부 자리에 들어선 전쟁기념관은 지하2층 지상 4층으로 6개의 전시실을 갖추었다.

    아시아 최대 규모의 전쟁 무기 박물관이며 희귀한 군사 유물이 많은 곳으로 외국인 관람객들도 많이 찾는다.
  • 1987.6.10
    시작일
    1987년 6월 10일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규탄하는 시위가 전국 22개 도시에서 일제히 벌어졌다.

    1987년 4월 13일 정부의 호헌(護憲) 발표 후 연일 계속되던 시위는 이날을 정점으로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그 결과 당시 집권 여당인 민정당은 직선제 개헌과 제반 민주화조치를 약속하는 6.29선언을 발표하였다.
  • 2000.6.13
    첫 남북정상회담일
    한반도 분단 이후,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이 만난 첫 번째 회담이다.
  • 1976.6.14
    단속일
    1976년 6월 14일 치안본부는 장발 일제단속을 전국 경찰에 지시했다.

    단속 대상은 옆머리가 귀를 덮고 뒷머리가 옷깃을 덮는 머리, 남녀를 구별할 수 없을 정도의 긴 머리, 파마 머리나 여자의 단발형태 머리였다.

    적발된 장발족은 소속기관장(관공서, 학교, 직장)에 통보했으며, 소속이 없는 사람은 즉심에 넘겨졌다.
  • 1998.6.16
    방북일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1차 방북은 1998년 6월 16일에 이루어졌으며, 당시에는트럭 50대에 소 500마리를 싣고 방북했었다.

    정회장은 북한에 머물면서 남북경협, 금강산 개발 등에 대해 논의했다.

    1998년 10월 27일에는 ‘통일소’ 501마리와 현대차 20대를 이끌고 판문점을 통해 재방북했다.

    정주영 소떼 방북사건은 분단 이후 민간 차원의 합의를 거쳐 군사구역인 판문점을 통해 민간인이 북한에 들어간 첫 사례였다.

    정주영회장의 소떼 방북은 향후 10여 년간 비약적으로 성장하게 될 남북 민간교류의 물꼬를 튼 기념비적 사건이었다.
  • 1995.6.17
    개관일
    서울 중구 정동에 위치한 극립정동극장은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극장 원각사를 복원한다는 역사적 소명을 가지고 탄생한 극장이다.

    460여평의 대지 위에 지하 3층, 지상 2층의 건물로 4백석 규모의 객석을 갖췄다.

    전통예술의 발전과 보급, 생활 속의 문화운동 전개, 청소년 문화의 육성이라는 세 가지 지표를 목적으로 1995년에 건립되었다.
  • 1961.6.18
    개최일
    1961년 6월 18일 서울운동장에서 프로레슬링선수권대회의 각 체급 결승전이 열렸다.

    우리나라의 프로레슬링은 1960년대 초 장영철, 천규덕 등이 ‘한국 프로레슬링 협회’를 결성하고 각종 대회를 개최하면서 대중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후 1965년 일본에서 활동하던 김일 선수가 귀국하면서 인기 스포츠가 되었다.
  • 1953.6.18
    석방일
    1953년 6월 18일 공산측으로의 송환을 거부한 반공포로 2만 7천여 명을 석방하였다.

    반공포로 석방사건은 6.25전쟁 휴전회담 진행중 한국측이 미군을 비롯한 UN군의 동의 없이 거제도 포로수용소에 수감되어있던 반공포로를 석방한 사건이다.

    당시 이승만 정권의 주도하에 부산, 광주, 논산 등 전국 8개 지역의 포로수용소에서 반공포로를 탈출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