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역사 17 페이지 > Little Korea

K-HISTORY

Meaningful Days of Korean History

  • 1953.1.30
    화재발생일
    1953년 1월 30일 밤 임시수도 부산의 경제중심지였던 국제시장에 큰 불이 났다.

    이 불은 1월 31일 새벽에 진화되었으나, 3만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하고, 4,000여 채의 가게가 전소하는 등 큰 피해를 냈다.
  • 877.1.31
    태조 왕건 탄생일
    고려 태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음력 1월 14일)~ 943년 7월 4일(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 후고구려의 장군이자 고려의 초대 국왕이다.

    후고구려를 세운 궁예의 장수로서 후백제의 해상 요충지 나주를 점령하고 나주 호족들을 모두 복속시켰다. 후백제는 그 뒤로 전략전술에 상당한 제약을 받게 됐다.

    결국 후고구려의 영토는 대폭 넓어졌으며 곳곳에서 왕건은 공로를 세웠다. 궁예와 호형호제를 허락받았으며, 한창 나이에 2인자 시중 자리까지 오르는 등 총애를 받았다.

    궁예가 폭정으로 인심을 잃자 여러 장수들과 대신들이 왕건을 왕으로 추대하였다. (재위 : 918년 7월 25일 ~ 943년 7월 4일)

    신라 문무왕에 이어 2번째로 한반도 통일 국가를 이룩한 지도자로 이로 인해 한반도인들이 단일국가로서의 정체성을 갖게 됐다.
  • 1989.2.1
    역사적 사건일
    우리나라는 1988년 8월 26일 한·헝가리 상주대표부 설치 협정을 체결하고, 같은 해 10월 25일 주 헝가리 한국상주대표부를 부다페스트에 두었으며, 12월 7일에는 한국 주재 헝가리상주대표부를 서울에 각각 설치하였다.

    다음해 1989년 2월 1일 정식으로 대사급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같은 날 상주대표부를 대사관으로 승격시켰다.

    헝가리는 동유럽 공산국가 중에서 한국과 정식 국교관계를 수립한 첫 번째 국가가 되었으며, 1989년 11월 우리나라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노태우 대통령이 헝가리를 방문하여 항공협정과 관광협정을 체결하였다.
  • 1963.2.1
    개관일
    장충체육관은 8,000석 규모의 국내 최대 실내경기장이었고 원형경기장이다.

    본래 육군체육관으로 사용하던 것을 스포츠경기장으로 변경하여 1963년 2월 1일 개관하였다.

    1960~70년대 장충체육관은 스포츠뿐만 아니라 각종 관제 행사의 단골 개최지이기도 했다.

    100억달러 수출기념식을 비롯해 광복절, 대통령 취임식 등 각종 국가 기념행사가 열렸던 곳이다.
  • 2020.2.10
    기생충 아카데미 4관왕 수상일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이 세계 영화 역사를 새로 썼다.

    2020년 2월 10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엔젤레스 할리우드 돌비 극장에서 열린 제92회 아카데미시상식에서 ‘기생충’은 외국어 영화로는 최초로 작품상을 거머쥐었다.

    한국영화가 미국 아카데미 최종 후보에 오른 것은 ‘기생충’이 처음으로, 아카데미에서 수상에 성공한 것도 ‘기생충’이 최초다.

    ‘기생충’은 총 6개 부문에 올라 △작품상 △감독상 △국제영화상 △각본상 4관왕에 등극했다.

    이번 아카데미 시상식의 최다 수상 기록이다.
  • 1978.2.22
    사물놀이 탄생일
    사물놀이는 사물(四物), 꽹과리 · 장구 · 북 · 징의 네 가지 악기 놀이[연주]라는 의미이다.

    사물놀이는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대규모 구성의 풍물놀이를 1978년 무대예술로 각색한 것이다. (원년 멤버는 징 - 김용배, 장구 - 김덕수, 꽹과리 - 이광수, 북 - 최종실)

    풍물놀이가 대규모의 놀이를 동반하여 야외 공연의 활동성을 강조하였다면 사물놀이는 악기 연주 자체에서 느낄 수 있는 감동을 강조한 공연형태라 할 수 있다.

    다양한 장단을 연주하며 긴장과 이완의 주기적인 흐름 속에서 기경결해(시작, 진행, 절정, 마무리)의 전개방식으로써 진행한다.
  • 1919.3.1
    국경일
    1919년 3월 1일 한민족이 일본의 식민통치에 항거하고, 독립선언서를 발표하여 한국의 독립 의사를 세계 만방에 알린 날을 기념하는 날로 한국의 국경일이다.

    노래 : 부산 에듀넷 어린이합창단
  • 1919.3.1
    국경일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기억하자! 만세운동 퍼포먼스!
  • 1919.3.1
    3.1운동 시작일
    3.1 운동(三一運動)은 1919년 3월 1일부터 수개월에 걸쳐 한반도와 세계 각지의 한인 밀집 지역에서 시민 다수가 자발적으로 봉기하여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일본 제국의 한반도 강점에 대하여 저항권을 행사한 비폭력 시민 불복종 운동(civil disobedience)이자 한민족 최대 규모의 독립운동이다. 3·1 독립선언, 3·1 혁명, 3·1 독립만세운동, 기미 독립운동 등으로 칭하기도 한다.

    참가자들은 ‘조선 독립 만세’와 '대한 독립 만세'라는 구호를 앞세워 일본 제국의 무단통치(武斷統治)를 거부하고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였으며, 이는 민간과 지식인의 반향을 일으켜 대규모의 전국적 시위로 발전하였다.

    시위가 끝난 뒤에도 그 열기는 꺼지지 않고 각종 후원회 및 시민단체가 결성되었고, 민족 교육기관, 조선여성동우회와 근우회 등의 여성 독립운동 단체, 의열단 등의 무장 레지스탕스, 독립군이 탄생했으며 종래에는 현대 한국의 모체(母體)인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낳은 운동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된 계기이고 헌법에도 계승하고 있음을 명시하기 때문에 대한민국의 정통성은 3·1 운동에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대한민국 정부에서 사용한 대한민국 연호는 3·1 운동이 일어난 1919년을 원년으로 삼는다.

    한국 근대사(정확히는 한일합병 이후 전개되는 근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꼽힐뿐만 아니라 20세기 세계사에서도 중요히 여기는 사건이다.
  • 1954.3.1
    착공일
    국방부 주관으로 국군묘지 후보지 선정 결과, 동작동 현 위치를 국군묘지 후보지로 선정하여 1953년 9월 29일 이승만 대통령의 재가를 받아 국군묘지 부지로 확정하였다.

    1954년 3월 1일 정지공사를 착공한 이래 3년에 걸쳐 묘역 238,017㎡ 을 조성하고, 그 후 연차적으로 1968년 말까지 광장 99,174㎡, 임야 912,400㎡ 및 공원행정지역 178,513㎡을 조성하였다.
  • 1967.3.18
    지정일
    충무공 이순신이 무과에 급제하기 전까지 살았던 곳으로, 지금의 현충사이다.

    주요시설로는 이순신의 초상화를 모셔놓은 현충사를 비롯하여 이순신이 자란 옛 집, 활을 쏘며 무예를 연습하던 활터, 정문인 홍살문, 셋째 아들 이면의 무덤이 있다.

    전시관에는 이순신 장군과 임진왜란에 관한 각종 유물이 전시되어 있고, 교육관에서는 이순신 장군 정신과 위업선양을 위한 강의와 세미나가 열리고 있다.
  • 2020.3.26
    안중근 순국일
    한말의 독립운동가로 삼흥학교(三興學校)를 세우는 등 인재양성에 힘썼으며, 1909년 10월 26일 일본인으로 가장하고 하얼빈 역에 잠입하여 역 플랫폼에서 한국 침략의 원흉 이토히로부미[伊藤博文]를 사살하였다.
    1910년 3월 26일 뤼순감옥에서 사형 집행으로 순국하였으며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