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역사 6 페이지 > Little Korea

K-HISTORY

Meaningful Days of Korean History

  • 1947.7.19
    여운형 암살일
    여운형은 1918년, 상하이에서 신한청년당을 결성하며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1919년에는 조선 독립을 알리기 위해 파리강화회의에 대표를 파견했고, 상해임시정부 초대내각에 외무부 차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1919년 11월, 여운형은 일본 내각의 초청을 받는다. 수백 명의 일본기자들을 상대로 한 연설에서 그는 조선의 독립을 주장하고 일본 정부를 비판한다. 여운형을 회유하려 한 일본 내각은 역풍을 맞아 중의원 해산 사태에 놓인다. 1929년, 여운형은 일제 경찰에 체포돼 3년간 수감된다. 출옥 후, 조선중앙일보 사장이 된 그는 베를린올림픽 마라톤에서 손기정이 우승하자 일장기 삭제 사진을 게재했다.

    1944년 8월, 여운형은 좌우를 망라한 애국세력을 모아 건국동맹을 결성한다. 이는 해방 후 출범 이틀 만에 체계를 갖춘 건국준비위원회의 밑바탕이 된다. 그러나 통일정부 수립의 길은 쉽지 않았다. 모스크바 3상회의의 신탁통치 안으로 좌우대립이 극렬해졌다. 통일임시정부 구성을 논의하려던 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됐다.

    1946년 6월, 이승만은 정읍에서 단독정부 수립을 제안하고, 여운형은 이를 반대한다. 통일정부 수립을 위해 좌우합작을 추진한 여운형에게 양 진영의 비난과 공세가 쏟아지고, 그를 향한 끊임없는 테러가 발생한다. 결국 여운형은 1947년 7월 19일, 암살당한다. 그의 죽음으로 통일정부 수립의 꿈이 멈춰버린다.
  • 1985.7.19
    개통일
    1985년 7월 19일 부산 지하철 1호선이 개통되었다.

    개통된 노선은 부산시 금정구 노포동에서 범내골을 연결하는 것으로 부산지하철 1호선의 1단계 구간이었다.

    2017년 4월 20일 다대포해수욕장역 구간을 끝으로 전구간 개통한 부산광역시의 첫번째 도시철도 노선이다.

    전국의 비수도권 도시에서 최초로 개통된 도시철도이다.
  • 1978.7.20
    준공일
    1978년 7월 20일 원자력 발전소를 한국 역사상 처음으로 건설하고 준공식 및 5,6호기 기공식을 했다.

    지난 세월동안 고리 1호기는 대한민국 경제성장을 뒷받침했다.

    가동 첫해인 1978년 우리나라 전체 발전설비 용량의 9%를 감당했고, 이후 늘어난 원전으로 우리는 경제발전 과정에서 크게 늘어난 전력수요에 대응할 수 있었다.

    2017년 6월 19일, 1977년 완공 이후 40년만에 국내 최초의 고리원전 1호기를 영구 정지했다.
  • 1979.7.20
    우승일
    김진호 (1961년 12월 1일 ~ ) 선수는 경상북도 예천군 출신으로, 예천여중 재학 중 양궁을 시작했다.

    예천여고 재학 중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1979년 베를린에서 열린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에서 30m, 50m, 60m, 개인 종합, 단체전을 석권하며 5관왕에 올라 세계 양궁을 제패했다.

    1980년 모스크바에서 열리는 하계 올림픽에서도 큰 기대를 모았으나, 대한민국의 보이콧으로 참가하지 못했다.

    1983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다시 5관왕에 오른 김진호는 세계무대에 한국 양궁의 저력을 알린 최초의 선수이다.
  • 1948.7.24
    취임일
    1948년 7월 20일 국회에서 제1대 대통령·부통령선거를 실시했다.
    국회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 출석과 출석의원 3분의 2 이상의 표를 얻어야 당선되는 간접선거 방식이었다.

    후보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의 이승만, 무소속의 김구·안재홍 3명이었다.
    선거 결과 국회 재적의원 198명 중 197명이 출석해 이승만이 92.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김구는 13표, 안재홍은 2표를 얻었다.
    부통령선거에서는 133표를 얻은 이시영이 당선됐다.
  • 1970.7.25
    개관일
    1970년 7월 25일 동양 최대 규모의 어린이회관이 서울 남산에 문을 열었다.

    이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18층 규모로 당시 총공사비 6억 원이 투입되었다.

    건물 내부에는 체육관, 수영장, 무용실 등과 장서 11,000권을 보유한 도서관도 갖추었다.

    남산어린이회관은 1974년 국립중앙도서관에 이양되었고, 1975년 서울특별시 성동구 능동의 새 회관으로 이전하였다.

    지금도 남산에 우뚝 선 건물은 서울시 과학 전시관의 남산 분관으로서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 1965.7.27
    안장일
    이승만은 (1875 ~ 1965) 1948년부터 1960년까지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을 지낸 인물. 1948년 5월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장에 오른 뒤, 7월 초대 대통령에 취임하여 철저한 반공정책을 폈다.

    한국전쟁 때는 휴전을 반대하였고, 1952년에는 재선이 어렵게 되자 헌법을 대통령 직선제로 개정, 제2대 대통령에 재선되었다.

    1954년 대통령의 연임 제한을 철폐하는 사사오입 개헌을 강행하였고, 1956년 제3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1960년 3월 15일 대통령선거 때 여당(자유당)과 정부가 조직적으로 부정선거를 감행하여 4선되었으나, 전국적으로 부정선거 규탄 데모가 벌어짐으로써 4 · 19혁명이 발발하였다.

    1960년 4월 26일 이승만은 결국 하야 성명을 발표하고 하와이로 망명하였다. 1965년 망명생활 중 사망하였고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 1953.7.27
    휴전 서명일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은 한국 전쟁에서의 전쟁 행위를 멈추게 한 휴전협정(armistice)을 말한다.

    1953년 7월 27일 유엔사령관 클라크 대장, 공산군사령관인 김일성과 팽덕회 3자간에 맺어진 휴전협정문(22시부터 효력발생)이다.

    휴전 협정의 의무 조항으로 평화 협정을 3개월 안에 휴전 협정 당사국 간에 논의가 되어야 했다.

    그리고 이후 1954년의 제네바 회담에서 한반도 평화 협정에 대해서 구체적 논의가 되어야 했지만, 미국측의 협상 회피로 인해서 실질적으로 깊은 논의가 되지 못하였다.
  • 1993.7.30
    출발일
    1993년 7월 30일 한국군 최초로 소말리아의 유엔평화유지활동(PKO)에 참여하기 위해 국군 건설지원공병단 192명이 성남 서울공항에서 출발했다.

    상록수부대는 1993년 7월부터 1995년 2월까지 소말리아에 파견되어 주로 내전으로 파괴된 도로 보수공사와 주민지원 활동을 수행했다.
  • 1981.8.1
    시행일
    1981년 8월 1일부터 해외여행 자유화 취지를 담은 「여권법 시행령」이 시행되었다.

    국력신장과 국제 교류의 확대 흐름에 따라 개정된 여권법 시행령은 해외여행 허가 대상 확대와 여권 신청절차 간소화를 골자로 하고 있다.

    여권의 단·복수 구분이 없어지고, 부부 해외여행, 연령제한 규제 등이 폐지되었다.

    해외여행의 전면적 자유화는 88 서울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른 자신감과 올림픽을 통한 국제화가 해외여행에 대한 수요가 증가된 1989년에 이루어졌다.
  • 1976.8.1
    금메달 수상일
    1953년 1월 22일에 부산에서 태어난 양정모는 1976년 8월 1일 제21회 몬트리올 올림픽 레슬링 경기 자유형 62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대한민국이 광복 후 참가한 올림픽 경기로는 처음으로 금메달을 땄다.
  • 1762.8.5
    정약용 탄생일
    정약용(丁若鏞, 1762년 8월 5일(1762년 음력 6월 16일) ~ 1836년 4월 7일(1836년 음력 2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저술가·시인·철학자·과학자·공학자이다.

    조선 근대 공학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또한, 정약용은 유형원·성호 이익을 통해서 내려온 실학사상을 한 몸으로 집대성했다.

    성리학·천문·지리·역상(曆象)·산학(算學)·의복(醫卜)에 관련된 저서는 물론 《경세유표》와 《목민심서》, 《흠흠신서》 등은 모두 ‘다산학’의 귀결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경제·사상의 총괄 편이다.

    2012년 정약용은 루소, 헤세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인물로 선정되었다.
  • 1953.8.5
    교환일
    1953년 8월 5일 6.25전쟁 포로교환이 시작되었다.

    이 포로교환은 같은 해 6월 체결된 포로송환협정에 의해 우선 송환대상자들을 교환하는 것이었다.
  • 1993.8.6
    개최일
    1993년 8월 6일 대전 엑스포 개회식이 열렸다. 이 박람회는 ‘새로운 도약에의 길’이라는 주제로 전세계 108개 국이 참가하여 93일간 계속되었다.

    1993년 대전 엑스포는 개발도상국에서 최초로 열린 세계박람회기구 공인 엑스포로 열렸다.

    1893년 처음으로 미국 시카고 엑스포에 8칸 규모의 기와집으로 참가한 대한민국이 100년 만에 주최국이 된 기념할만한 엑스포였다.
  • 2020.8.7
    명절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음력 7월 7일(일본은 양력 7월 7일)에 각 나라의 전통적인 행사를 지낸다.

    칠석날 저녁에 은하수의 양쪽 둑에 있는 견우성(牽牛星)과 직녀성(織女星)이 1년에 1번 만난다고 하는 전설에 따라 별을 제사지내는 행사이다.

    옛날에 견우와 직녀의 두 별이 사랑을 속삭이다가 옥황상제(玉皇上帝)의 노여움을 사서 1년에 1번씩 칠석 전날 밤에 은하수를 건너 만났다는 전설이 있다.

    이때 까치와 까마귀가 날개를 펴서 다리를 놓아 견우와 직녀가 건너는데, 이 다리를 오작교(烏鵲橋)라고 한다.

    칠석 때는 더위도 약간 줄어들고 장마도 대개 거친 시기이나, 이때 내리는 비를 칠석물이라고 한다.

    이 시기에는 호박이 잘 열고, 오이와 참외가 많이 나올 때이므로 민간에서는 호박부침을 만들어 칠성님께 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