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역사 9 페이지 > Little Korea

K-HISTORY

Meaningful Days of Korean History

  • 1993.10.10
    사고일
    1993년 10월 10일 전라북도전라북도 부안군 위도에서 여객선 서해 훼리호가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부안과 격포 사이를 운행하던 이 선박은 110톤급으로, 사고 당시 정원 221명보다 많은 362명의 승객이 탑승하고 있었다.

    사고는 해상에서 돌풍을 만나 회항하려고 뱃머리를 돌리던 중 일어났으며, 292명이 사망했다.
  • 2006.10.14
    선출일
    반기문(潘基文, 1944년 6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제7대 외교통상부 장관을 역임한 외교관이자 제8대 유엔 사무총장이다.

    1970년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외무고시에 차석으로 합격하여 외무부에서 근무했다. 외무부 미주국장, 외교정책실장 등을 거쳐 대통령비서실 외교안보수석비서관, 외교통상부 차관을 지냈고, 2004년 1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노무현 정부에서 외교통상부 장관을 역임했다.

    2006년 10월 13일 유엔 총회에서 제8대 유엔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어, 2007년 1월 1일 코피 아난의 뒤를 이어 유엔 사무총장의 임기를 시작하였다.

    2011년 6월에는 반기문 사무총장 연임 추천 결의안이 안보리의 만장일치와 지역그룹 전원이 서명한 가운데 총회에서 192개 회원국의 박수로 통과되어 유엔 사무총장 연임에 성공하였다.

    반기문이 2016년 12월 31일 10년간의 유엔 사무총장의 임기를 마치고 퇴임하면서 후임 유엔 사무총장으로 선출된 안토니우 구테흐스가 2017년 1월 1일부터 임기를 시작했다.

    2017년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윤리위원장으로 선출됐다
  • 1946.10.15
    개교일
    1945년 광복 이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대학의 설립이 국민들로부터 절실히 요구되자 미군정은 경성제국대학을 중심으로 여타 공업, 농업 전문대학들을 통합하여 국립 서울대학교를 만들 계획을 세웠다.

    1946년 7월 13일 미군정청은 ‘국립서울종합대학안’을 공식 발표하고 같은 해 8월 22일에「국립서울대학교 설립에 관한 법령」이 공포됨으로써 서울대학교는 공식적으로 설립됐다.

    1946년 10월 15일 개교할 당시에는 9개 단과대학(문리과대학, 공과대학, 농과대학, 법과대학, 사범대학, 상과대학, 의과대학, 예술대학, 치과대학)과 1개 대학원으로 출발하였으며, 그 이후 점차 학부와 대학원의 규모가 늘었다.
  • 1963.10.15
    법정기념일
    매년 10월 15일은 체육의 날이다. 국민의 체육에 대한 의식을 북돋우고 체력을 향상시키며 올림픽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지정한 대한민국의 기념일이다.

    이 날은 학교마다 운동회 또는 체육대회, 그 밖에 체육행사 등을 실시하며, 직장에서도 실정에 맞도록 각종 체육활동을 실시한다.

    또한 정부에서는 체육발전에 공로가 높은 사람들을 포상하기도 한다.
  • 1973.10.15
    준공일
    1973년 10월 15일 소양강 다목적댐 준공식이 강원도 춘천에서 개최되었다.

    소양강댐은 길이 530미터, 높이 123미터, 저수량 29억 톤으로 우리나라 최대의 다목적댐이며, 모래와 자갈로 만든 사력식댐이다.

    한강유역의 홍수·가뭄을 막고 각종 용수를 공급하며, 댐 옆에 함께 지어진 발전시설로 전력공급도 가능하다.

    당시 소양강댐 발전량은 전국 수력발전 총량의 약 1/3 규모였다.

    이 공사는 경부고속도로, 서울지하철 1호선과 더불어 3대 토목공사로 불리었으며, 1967년 착공하여 6년여 만에 마무리되었다.
  • 1972.10.17
    역사적인 날
    1972년 10월 17일, 비상계엄 아래 국회해산, 정당 활동 중지 등에 대한 헌법개정안이 선포됐다.

    대통령은 간접선거로 선출했고 대통령직 연임제한을 삭제했다.

    대통령에게 국회의원 3분의 1 임명권과 긴급조치권, 국회해산권을 부여했다. 대통령의 영구집권과 초헌법적 권한을 보장하는 유신헌법으로 역사상 가장 비민주적인 헌법이었다
  • 1973.10.17
    개관일
    1973년 10월 17일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현 국립중앙극장)이 개관하였다.

    남산 기슭에 세워진 새 국립극장의 대극장은 회전무대·좌우 이동무대 등의 시설을 갖춘 최첨단 예술극장이었다.

    개관기념 제1회 공연으로 '성웅 이순신'이 상연되었다.

    국립중앙극장은 1950년 설립된 아시아 최초의 국립극장이다.

    민족예술의 창조적 발전과 국민의 문화복지 향상을 목적으로 운영되며, 국립창극단, 국립무용단, 국립국악관현악단 등을 거느리고 있다.
  • 1920.10.20
    역사적인 날
    김좌진 장군의 북로군정서군과 홍범도가 이끄는 대한독립군 등이 주축이 된 독립군 부대가 만주에서 일본군 대부대를 섬멸했다.

    수천 명에 불과한 독립군과 수만 명의 일본군이 싸운 이 전투에서 매복 작전이 주효해 독립군은 90여 명의 전사자를 냈으나 일본군은 3천500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청산리 전투는 한국 무장독립운동 사상 가장 빛나는 전과를 올린 대첩으로 기록됐다.
  • 1945.10.21
    법정기념일
    1945년 10월 21일, 미 군정청 산하 경무국이 창설된 이래 건국·구국·호국 경찰로서 역경과 시련을 극복한 경찰사를 되새기고, 선진조국 창조의 역군으로서 새로운 결의를 다지기 위해 제정한 법정기념일이다.

    매년 10월 21일이며, 1948년 처음으로 기념행사를 가진 이후 1957년 11월, 내무부 훈령에 따라 이날을 '경찰의 날로' 지정하였고, 1973년 '각종 기념일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정부 주관 기념일로 확정되어 오늘에 이른다.
  • 1996.10.21
    기념일
    한복의 날은 한복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한복의 우수성과 산업적·문화적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1996년 지정되었다.

    2014년부터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산하의 한복진흥센터가 주최, 주관을 맡아 행사를 벌이고 있다.

    서울의 중심이자 조선 건국의 상징인 경복궁을 행사장으로 삼은 것은 한복의 아름다움을 세계에 널리 알려 관광 콘텐츠로서 한복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함이다.
  • 1945.10.24
    법정기념일
    1945년 10월 24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국제연합이 조직된 것을 세계적으로 기념하는 날이다.

    '유엔 데이'라고도 한다. 한국은 6·25전쟁 때 국제연합군이 참전한 것을 기리는 뜻도 가진다.

    1973년 3월 30일 대통령령(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으로 그날을 국제연합일로 정하였다.
  • 1991.10.25
    사적 지정일
    서울 종로에 위치한 사적공원이다. 1991년 파고다공원에서 탑골공원으로 개칭하였으며 사적 354호로 지정돼 있다

    탑골공원이 우리나라 근현대사에서 중요한 이유는 이 곳이 1919년 3.1운동 당시 독립선언문을 낭독하고 독립만세를 처음 외친 3.1운동의 발상지이기 때문이다.

    1919년 3월 1일 사람들은 이곳에 모여 독립선언서를 듣고 3.1운동에 나섰다. 그래서 일제강점기 파고다공원은 나라잃은 설움을 달래려는 사람들이 많이 찾는 장소이기도 했다.

    현재 공원 경내에는 독립운동 봉화에 불을 당겼던 팔각정을 중심으로 국보 제2호인 원각사지 10층석탑, 보물 제 3호인 원각사비 등의 문화재와 3·1 운동 기념탑, 3·1 운동 벽화, 의암 손병희 선생의 동상, 한용운 선생 기념비 등이 있다.
  • 2000.10.25
    지정일
    독도의 날은 대한제국 고종이 1900년 10월 25일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 섬으로 제정한 일을 기념하기 위해 2000년 민간단체 독도수호대가 제정했다.

    일본의 교과서에 독도가 일본의 땅이라고 우기지만, 독도는 엄연한 대한민국의 땅이며, 일본은 독도의 자원과 여러 이득을 노리고 전혀 사실이 아닌 일방적인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독도가 대한민국의 영토라는 사실은 스카핀 제677호 등 여러 독도의 영유권 관련 주요 문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울릉도에서는 독도가 보이지만, 일본의 어느 섬에서도 독도를 볼 수 없다.

    이 외에도 독도가 대한민국의 영토라는 것을 나타내는 증거는 무수히 많다. 일본인들은 이 사실을 잘 모르는데, 그 이유는 일본 정부가 독도에 관하여 거짓 정보를 담은 교과서를 학생들에게 교육했기 때문이다.
  • 1979.10.26
    박정희대통령 사망일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은 KBS 당진 송신소 개소식과 삽교천 방조제 준공식 참석 후 궁정동 안가에서 중앙정보부장 김재규(金載圭, 1926~1980), 비서실장 김계원(金桂元, 1923~2016), 경호실장 차지철(車智澈, 1934~1979)과 함께 연회를 가졌는데, 연회 도중 차지철과 갈등을 빚고 있던 김재규에게 총살당하였다. 이처럼 10⋅26 사태로 인해 18년 간의 박정희 1인에 의한 장기 집권 체제가 끝났다.
  • 1909.10.26
    역사적인 날
    1909년 10월 26일 안중근의사가 만주 철도 부설권 및 한반도 병합문제를 논의하기 위하여 하얼빈을 방문한 일본의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였다.

    안중근의사는 현장에서 대한국 만세를 외치고 러시아 헌병에게 체포된 후 1910년 3월 26일 사형당했다.

    안중근(安重根, 1879년 9월 2일 ~ 1910년 3월 26일)은 대한제국의 군인, 항일 의병장 겸 정치 사상가이다.